문화재 > 김상헌선생묘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김상헌선생묘

문화재 정보

문화재 > 김상헌선생묘

본문

김상헌(金尙憲, 1570~1652) 선생은 본관이 안동(安東)이며, 호는 청음(淸陰)·석실산인(石室山人) 등이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예조판서로 주화론(主和論)을 배척하고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폈다. 1645년 특별히 좌의정에 제수되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김상헌선생 묘는 선영(先塋) 중 조부 김생해(金生海) 묘 아래 단독으로 조성되어 있다. 봉분 앞에는 묘표, 혼유석, 석상, 향로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아래로 묘명비(墓銘碑)와 문인석 1쌍이 건립되어 있다. 묘표는 운수방부(雲首方趺; 구름이 조각된 비신 머리와 네모난 비좌) 형태로 운수는 앞뒤 면에 일출(日出)을 형상화했다.
문인석 앞쪽에는 1671년에 건립한 개석방부(蓋石方趺; 지붕돌과 네모난 비석 받침) 형태의 묘갈(墓碣)이 있다. 이 묘갈 앞면에는 김상헌이 심양관(瀋陽館)에 구금되어 있을 때 스스로 지은 명(銘)이 손자 김수증(金壽增)의 글씨로 새겨져 있다. 뒷면의 후서(後序)는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송준길이 썼으며, 모두 문인(門人)이라고 썼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시도기념물
지정호수100
문화재명김상헌선생묘
문화재명2金尙憲先生墓
문화재분류유적건조물
문화재분류2무덤
문화재분류3무덤
문화재분류4봉토묘
수량1기
지정(등록일)19870212
소재지 상세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 5
시대조선시대
소유자안동김씨종중
관리자안동김씨종중
관련 이미지 정보
문인석
신도비
김상헌선생묘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