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백관수선생고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백관수선생고택

문화재 정보

문화재 > 백관수선생고택

본문

이 건물은 근촌 백관수 선생의 고택으로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각지붕으로 규모는 16.5평이다. 주초는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기둥은 각주, 기단은 근래에 깬돌로 보수하였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우진각 지붕으로 건물 규모는 17평이다.
근촌 백관수 선생은 고종26년(1889) 1월28일 성내면 덕산리에서 태어나 여섯살때 부터 거유인 간재 전우의 문하에서 한문을 익히고, 열여섯 되던 해에 러일 전쟁이 일어나 망국의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었다. 1917년 봄 비록 만학의 길이기는 하였으나 일본으로 건너가 명치대학 법과에 입학한 후 그곳에서 독립운동 대책위원으로 뽑혀 역사적인"2.8선언"으로 일본경찰에 연행되어 1년동안의 옥고를 치루었으며, 이 선언은 바로 3.1운동을 촉진 시킴으로 독립운동의 선구자였던 것이다. 1920년 3월 출옥한 그는 귀국해서 기독교 청년회와 관련하는 한편, 언론계에 투신하여 이상재와 더불어 조선일보의 이사와 영업,편집 등을 맡아 4년간 근무하였다. 그가 주동한 2.8선언의 전모를 알고 있는 이승만은 독립운동을 함께 할 것을 간청하였으나 거절하고 귀국하였던 것이다.
1937년 5월 동아일보사 제7대 사장에 취임하였으며 1947년 대주대표자대회를 거쳐 1948년 5월 10일 제헌국회의원에 향리인 고창에서 당선되어 초대 법사위원장을 지내다 6·25로 자택에서 공산당에 납북되었다. 당시 나이 62세였으며 그의생사 여부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시도기념물
지정호수90
문화재명백관수선생고택
문화재명2白寬洙先生古宅
문화재분류유적건조물
문화재분류2인물사건
문화재분류3인물기념
문화재분류4생활유적
수량일곽655㎡
지정(등록일)19970718
소재지 상세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도덕길 58 (성내면, 백관수선생고택)
소유자백***
관리자고***
관련 이미지 정보
백관수 고택(안채)
백관수 고택(사랑채,헛간)
백관수 고택(헛간채)
백관수고택
백관수선생고택_출생지 비 (촬영년도 : 2015년)
백관수선생고택_사랑채 배면 (촬영년도 : 2015년)
백관수선생고택_사랑채 전면 (촬영년도 : 2015년)
백관수선생고택_안채 (촬영년도 : 2015년)
백관수선생고택_입구 (촬영년도 : 2015년)
백관수선생고택_전경1 (촬영년도 : 2015년)
백관수선생고택_전경2 (촬영년도 : 2015년)
백관수선생고택_헛간1 (촬영년도 : 2015년)
백관수선생고택_헛간2 (촬영년도 : 2015년)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