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 서울 헌릉(태종,원경왕후)과 인릉(순조,순원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여행 > 서울 헌릉(태종,원경왕후)과 인릉(순조,순원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무장애여행

서울 헌릉(태종,원경왕후)과 인릉(순조,순원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본문


서울 헌릉과 인릉은 강남구 세곡동 인근에 있는 조선 3대 태종과 왕비, 23대 순조와 왕비를 합장한 왕릉으로 헌인릉이라고도 부른다. 헌릉은 조선 3대 태종과 그의 비 원경왕후 민씨의 능이고, 인릉은 조선 23대 순조와 그의 비 순원황후 김씨의 능이다.
헌릉과 인릉 앞에는 각각 정자각과 비각이 있으며 주차장 입구에는 제례를 준비하는 재실이 있다.

*헌릉
1420년 세종 2년에 원경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헌릉에 모셨고 2년 뒤에 태종이 세상을 떠나자, 쌍릉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이후 1856년(철종 7년)에 경기도 파주에 있던 순조의 인릉을 현재의 자리로 옮겼고 이듬해 순원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합장릉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태종, 오른쪽이 원경왕후의 능으로 조선시대 쌍릉의 대표적인 능제이다.

*인릉
1834년 순조가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에 파주 교하의 인조 장릉 근처에 능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풍수지리상 불길론이 제기되면서 1855년(철종 6)부터 본격적인 천장 논의를 하여 다음해에 헌릉 서쪽 언덕인 현재의 자리로 천장하였다. 그 후 1857년(철종 8)에 순원숙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인릉에 능을 조성하였다.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이다. 우왕좌비의 형식에 따라 앞에서 봤을 때 왼쪽에 순조, 오른쪽에 순원숙황후를 모셨다.
주소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6-10 (내곡동)
(우:06795)
홈페이지http://royaltombs.cha.go.kr/
기본정보
세계 문화 유산 유무1
문의 및 안내02-445-0347(헌릉관리소)
쉬는날매주 월요일
이용시간2~5월, 9~10월 09:00~18:00
6~8월 09:00~18:30
11~1월 09:00~17:30
※ 매표는 마감 1시간 전까지
주차시설있음
유모차 대여 여부없음
애완동물 동반 가능 여부없음
신용카드 가능 여부가능
무장애 편의시설
주차여부장애인전용 주차구역 있음(총 7구역)_무장애 편의시설
접근로버스 정류장에서 약 5분 정도의 보도는 경사가 있으며, 주출입구 인근의 접근로는 평탄함
휠체어휠체어 대여 가능함(2대)
출입통로주출입구 무단차
화장실장애인 화장실 있음
보조견동반동반가능_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유모차유모차 대여 가능함(2대)
개방 구간
[헌인릉 산책길 개방(산책길 도면 공지사항에 게시)]
기간: 3월 ~ 11월
1코스 : 완만한 산책길 0.5km
2코스 : 폐쇄(산불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폐쇄)

[재실齋室 개방]
03월 ~ 05월, 09월 ~ 11월 09:00~17:00
06월 ~ 08월 09:00~17:30
12월 ~ 02월 09:00~16:30
주차요금
무료
화장실
있음(남녀 구분)
입 장 료
[일반관람권]
- 내국인 :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
- 외국인 : 개인 1,000원 / 10인 이상 단체 800원
이용가능시설
음수대, 자전거보관소, 휠체어 및 유모차 대여소 등
위치 정보 지도, 찾아가는길
이 지역의 현재 날씨 정보
기온17.9 ℃
습도97 %
풍속0.1 m/s
컨텐츠 저작권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를 통해 구현되었으며, 컨텐츠의 저작권은 공공데이터포털에 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