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 이인식 작곡발표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연 > 이인식 작곡발표회

서울시 세종문화회관 공연 및 전시 정보

공연 > 이인식 작곡발표회

본문

기본정보
공연명이인식 작곡발표회
공연시작일2011-10-29
공연종료일2011-10-29
장소세종체임버홀
시간오후 2시 30분
관람시간 : 100분 (인터미션포함),인터미션 : 15분
연령미취학아동입장불가
기획사예인예술기획
문의전화02-586-0945
티켓정보일반석 20,000원
할인정보-세종유료회원 10%
- 학생(대학생까지) 50% 할인
- 단체 20인 이상 10% 할인(1544-1555)
-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동반1인까지 50%할인
* 학생증, 복지카드 등 할인을 확인 할 수 있는 신분증 미지참 시 차액지불
유료할인율10%
장르기악
프로그램 정보

# PROGRAM

바이올린 에튀드 “밀양아리랑”

한오백년 환타지

트리오 “정선아라리”

아리랑타령

통일 아리랑

서울아리랑 랩소디

 

출연진 소개

# 작곡가 프로필

이인식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독일 베를린 국립음대 졸업
현재 : 성신여자대학교 작곡과 교수
창악회 회장
(사)한국음악협회 이사
국제현대음악협회(ISCM) 한국위원회 이사

# 연주

트리오 한
바이올리니스트 유은혜, 클라리네티스트 권록현, 피아니스트 김경옥으로 구성되어 있는 트리오 한은 1995년에 가진 창단 연주회를 시작으로 매년 정기연주회 및 초청 연주를 통해 국내·외의 현대 작품들을 초연함으로서 음악계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고 있는 현대음악 전문 연주단체이다. 매 연주 때 마다 많은 국내·외 작곡가들로부터 작품을 헌정 받기도 하며, 또는 위촉하여 연주함으로써 창작곡의 연주 활성화와 수준을 높이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카리엔 현대음악 앙상블
카리엔 현대음악 앙상블은 2008년 음악감독 겸 리더인 최윤영을 필두로 10명의 연주자로 창단, 각각의 단원 모두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우수한 학교를 졸업한 인재들로 구성되었다. 2008년 12월 창단연주 이후, 2009년부터 현재까지 국제현대음악제와 창악회, 신음악회, 작곡동인 소리목 등 다수의 창작음악 관련 연주회에 초청 및 참가하여 대한민국 창작음악에 대한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정기연주회를 통해 현대음악 앙상블 단체로써의 활동 목표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테너 정영수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 영국 왕립음악원(RSAMD) 석사과정 졸업
* 영국 브루스밀러 콩쿨, 마가렛딕 콩쿨 우승
* 라보엠, 라트라비아타, 마농 등 수십편의 오페라 주역 및 레퀴엠, 영광미사, 메시아 등 솔로연주
* 현재 : 한양대, 연세대, 중앙대, 인천예고 출강

공연개요
이인식의 다섯 번째 작품발표회Insik Lee Composition Recital아리랑 타령 2011\’*타령이란 “연곡의 속칭이다”--황현의 매천야록 중(1900년)# 연주소개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호흡과 숨결이 모여 형상화 된 우리들의 노래, 민족의 서사시이다.우리 선조들은 대대로 삶의 터전이 되어준 산을 경외하며 산이 되돌려주는 메아리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토로하고, 위로 받고 삶의 힘을 얻었다. (아리랑의 어원: 메아리)아리랑의 첫 기록은 고려 말, 조선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선왕조가 들어서자 새로운 왕을 모시기를 거부하고 절개를 지키던 7현은 산세가 깊고 험한 정선으로 옮겨와 은둔생활을 하였다. 그들은 “한 오백년 살자는데 웬 성화요”라는 가사를 통해 그들의 침통한 망국의 심정을 오늘날 우리에게 전한다.1865년에 시작 된 7년간의 경복궁 중수공사는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인부들이 한데 모여 지역적으로 구비 전승되던 토속 민요를 주고받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정선아리랑에 기반을 둔 여러 형태의 아리랑이 각 지역명과 함께 형성되었다. 1926년, 일제강점기의 어려운 시기에 나운규는 단성사에서 영화 “아리랑”을 상영한다. 일제에 대한 저항정신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최초의 민족영화였다. 이 영화의 주제가 “아리랑”은 그 후 우리 모두가 알고 즐겨 부르는 우리의 “아리랑”이 되어 우리 앞에 막아서는 어떠한 시련의 “아리랑 고개‘라도 넘어 가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한다.2011년 이인식은 이미 오랜 세월을 거쳐 그의 내면에 녹아든 “아리랑”을 그의 음악적 언어로 재현하려한다. 서양음악의 요소와 우리의 아리랑을 접목시켜 작곡가 이인식의 어법으로 아리랑을 표현하고자 함이며, 우리가 넘어야할 마지막 아리랑 고개, 통일을 함께 넘고자 한다.
컨텐츠 저작권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오픈API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