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문화재 정보

문화재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본문

1942년 착수된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해체수리 공사시 나온 사리함에서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국보)과 함께 발견되었다. 사리함에 새겨진 글에 의하면 통일신라 성덕왕 5년(706)에 사리함 속에 순금으로 된 6치 크기의 아미타상을 넣었다고 하는데 바로 그 불상으로 추측되나, 이를 위해서는 당시의 도량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광배(光背)와 불신(佛身), 연꽃무늬 대좌(臺座)의 3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분리되도록 만들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으며, 둥근 얼굴은 원만하다. 눈·코·입은 뚜렷하고 균형이 잡혀 있어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이상적인 모습에 접근하고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하며, 양어깨를 덮은 대의는 가슴을 크게 열었고, 그 안에 대각선으로 내의를 걸쳐 입었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에 흘러내린 옷자락은 좌우대칭으로 정돈되어 길게 늘어져 있다.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있고, 무릎 위의 왼손은 손끝이 땅을 향하도록 하여 손등을 보이고 있다.
머리광배에는 연꽃무늬를 중심으로 인동초·당초무늬·덩쿨무늬와 그 가장자리에 불꽃 무늬가 뚫을새김되어 있고, 몸광배에는 인동초·당초무늬와 덩쿨무늬를 이중으로 뚫을새김하였다. 대좌는 원형이며 엎어 놓은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미소 띤 얼굴에 뚜렷한 이목구비와 균형잡힌 몸매를 지녀 더욱 위엄있게 보이는 이 불상은 손모양이나 옷주름, 양감이 강조된 표현 등에서 8세기 초 불상의 양식과 성격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국보
지정호수79
문화재명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문화재명2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
문화재분류유물
문화재분류2불교조각
문화재분류3금속조
문화재분류4불상
수량1구
지정(등록일)19621220
소재지 상세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통일신라시대 초기
소유자국유
관리자국립중앙박물관
관련 이미지 정보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2014년 국보 동산 앱사진)006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2014년 국보 동산 앱사진)001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2014년 국보 동산 앱사진)002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2014년 국보 동산 앱사진)003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2014년 국보 동산 앱사진)004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2014년 국보 동산 앱사진)005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8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10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9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12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11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7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4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1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6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2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5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3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1-1_문화재대관(국보)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