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문화재 정보

문화재 >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본문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만복사 절터에 서 있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2m의 불상이다. 만복사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 때 창건된 사찰이고, 이 석조여래입상도 창건 때 같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승람』 에 의하면 만복사에는 동쪽에 5층의 전각, 서쪽에 2층의 전각이 있고 그 안에 35척(尺)의 금동불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런 기록으로 보아 만복사가 매우 큰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민머리의 정수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둥글게 솟아 있다. 살이 오른 타원형의 얼굴은 눈·코·입의 자연스러운 표현과 함께 원만한 인상을 보여준다. 어깨에서 팔로 내려오는 곡선, 몸의 굴곡 등도 아주 원만하고 부드럽게 표현되어 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에는 둥근 칼라와 같은 독특한 옷깃의 접힘이 있으며, 그 아래에는 둥근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오른팔은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팔은 아래로 내려서 역시 손바닥을 보이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손은 따로 끼울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는데 지금은 모두 없어진 상태이다.
광배(光背)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이루어져 있으며 굵은 선으로 구분되고 있다. 윗부분이 없어진 머리광배에는 활짝 핀 연꽃잎과 연꽃줄기가 새겨져 있고, 몸광배에는 연꽃줄기만이 새겨져 있다. 이들의 바깥에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좌우에는 각각 2구씩의 작은 부처가 들어 있다.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은 얼굴이나 몸 등에서 매우 원만하고 부드러운 성격이 드러나 있지만 옷주름이나 몸의 자세는 다소 부자연스러운 면이 보인다.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로 접어들면서 쇠퇴해가는 불상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보물
지정호수43
문화재명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문화재명2南原 萬福寺址 石造如來立像
문화재분류유물
문화재분류2불교조각
문화재분류3석조
문화재분류4불상
수량1구
지정(등록일)19630121
소재지 상세전북 남원시 왕정동 482-1번지
시대고려시대
소유자국유
관리자남원시
관련 이미지 정보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광배 뒷면 음각 여래입상
석불입상 대좌 상대석과 하대석
석불입상 상반신 및 머리광배
석불입상 손목 부분과 홈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만복사지석불입상(배면)
만복사지석불입상(배면)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촬영년도 : 2015년)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_우측면 (촬영년도 : 2015년)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_정면 (촬영년도 : 2015년)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_좌측면 (촬영년도 : 2015년)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