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김정숙 여사, 이웃 어린이와 함께 ‘우리꽃나무 심기’ 행사 관련 서면브리핑

2019.04.04 청와대
인쇄

김정숙 여사는 오늘 오전 11시 25분부터 오후 1시 15분까지 1시간 50분 동안 청와대 경내 산책로에서 청운초등학교 3학년 학생 16명과 함께 ‘우리꽃나무 심기’ 행사를 가졌습니다.

행사에서 김 여사는 꽃나무*와 야생화** 등 평소 접하기 힘든 우리꽃나무의 생김새와 특징을 어린이들에게 하나하나 설명하며 오늘 하루 ‘우리꽃 선생님’이 되었습니다. 김 여사는 설명 중에 김춘수 시인의 시 「꽃」의 한 구절***을 인용하며 “오늘 우리가 심은 우리꽃나무의 이름을 꼭 기억하자”고 말했습니다.

* 꽃나무 : 팥꽃나무, 미선나무, 히어리, 모란, 진달래, 철쭉
** 야생화 : 할미꽃, 제비꽃, 매발톱, 깽깽이풀, 양지꽃, 노루귀, 돌단풍, 작약, 봉선화, 자란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이어 어린이들은 김 여사의 설명을 듣고, 심고 싶은 꽃나무의 이름과 꽃 그림, 자신의 이름 등을 팻말에 직접 써넣었습니다. 김 여사도 어린이들과 함께 나란히 서서 ‘깽깽이풀’ 그림을 그리고 ‘김정숙’이라고 쓴 팻말을 완성했습니다. 팻말은 오늘 심은 우리꽃나무의 이름표로 세워졌습니다.

꽃나무를 심기 위해 자리를 옮기면서도 김 여사는 땅에 있는 냉이, 쑥 등 어린이들이 묻는 풀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이어갔습니다. 김 여사는 어린이들이 야생화와 꽃나무를 심는 것을 도우며, 심는 법 등을 자세히 알려주기도 했습니다.

김 여사는 식수를 마치고 어린이들과 도시락 식사를 하며 오늘 느낌과 앞으로 꿈 등을 물으며 대화를 나눴습니다. 이날 도시락에는 김 여사가 직접 요리해 만든 김밥, 소떡소떡, 닭강정, 과일 등을 담았고, 종이도시락과 나무포크를 사용하는 등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게 배려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오늘 초대된 어린이의 할머니로, 맞벌이 가정에서 손자·손녀의 육아를 맡고 있는 박경화·김정자 씨도 초대됐습니다. 김 여사는 도시락 식사 자리에서 맞벌이 부부 대신 엄마 역할을 하는 일명 ‘할마’(할머니와 엄마)의 고충과 보람에 대해 두 분의 ‘할마’와 진솔한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김 여사는 어린이들과 마지막으로 인사를 나누며 “오늘 심은 꽃나무들이 얼마나 자랐는지 볼 수 있도록 내년에 다시 보자. 꽃처럼 예쁘게 커라”고 격려하면서, “오늘 심은 야생화와 꽃나무의 이름을 꼭 기억하자”고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2019년 4월 4일
청와대 부대변인 한정우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