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문재인 대통령, 코로나19 대응 국제적 연대를 위한 정상 외교 현황 관련 윤재관 부대변인 브리핑

2020.04.02 청와대
인쇄

▲ 윤재관 부대변인 : 내용은 서면으로 먼저 보내드렸고, 2월 20일 시진핑 주석부터 시작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정상 통화가 오늘 예정된 것까지 하면 총 15회 했습니다. 주말을 제외하고 평일 기준으로 하면 평균 이틀에 한 번꼴이었습니다.
전 세계적인 연대가 중요하다는 점, 우리나라의 우수한 방역 체계에 대한 경험 공유, 국내산 진단키트 및 관련 의료 기기 지원 요청 등이 대통령의 정상 통화가 빈번하게 이뤄진 요인이었습니다.

이러한 정상 통화 외에도 최근 한 달간 해외 정상 여섯 분께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주셨습니다. 아웅산 수찌 미얀마 국가 고문, 분냥 보라칫 라오스 대통령,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하싸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 알라산 와타라 코트디부아르 대통령 등입니다.

우리나라가 보건 위기에 대처하는 데 있어서 모델이 되고 있고, 전염병 예방 및 통제 분야에서의 우리나라의 전문성 공유를 희망하고 있으며, 우리 국민들이 문 대통령의 리더십 하에 전염병을 이겨내고 시련을 극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는 내용이 담긴 서한이었습니다.

이렇게 정상 통화와 서한 접수를 종합하면 문 대통령은 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를 제외하고, 최근 코로나19 대응과 관련돼서 총 21개 국가 정상들과 소통한 것입니다.
대륙 분포를 보면 미국을 비롯한 북미 2개국, 남미 1개국,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5개국, 유럽 7개국, 중동 3개국, 아프리카 3개국 등입니다. 2월 20일 이후 오늘까지 전 대륙에 걸쳐 정상 외교가 이뤄진 것입니다.
또한, 관련국과의 긴밀한 협의 하에 아세안+3 특별 화상 정상회의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도 정상 통화를 희망하는 국가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국제적 연대를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형성된 우리나라에 대한 국제적 신뢰와 높은 평가를 더욱 제고시킴으로써 어려움에 처한 국민들에게 위로와 자긍심을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전력을 다함과 동시에 우리나라에 대한 전 세계적인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
생활 속 방역수칙 준수 어렵게 찾아가는 일상을 지키는 길 입니다 정책포커스 바로가기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